티스토리 뷰
목차
다가오는 달부터 항공 탑승 시 보조 배터리 반입 기준이 대폭 강화됩니다. ✈️🔋 배터리 용량, 수량 제한은 물론 보관 방법까지 새롭게 마련된 안전 규정으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최근 항공기 내 화재 사건을 계기로 보조 배터리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정부와 항공사들이 협력하여 엄격한 기준을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 규제 강화 배경
최근 보조 배터리 관련 안전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가 증대되었습니다. 특히, 한 항공기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가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어, 보조 배터리 관리 기준을 재정비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사건들을 반면교사 삼아, 승객과 항공기 모두의 안전 확보를 위해 기존 반입 규정을 전면 개편하였습니다.
📜 변경된 반입 가이드라인
신규 규정은 보조 배터리의 용량에 따라 반입 가능한 개수와 추가 승인 절차가 달라집니다:
배터리 용량 (Wh) | 허용 수량 | 추가 승인 여부 |
---|---|---|
100Wh 이하 | 최대 5개 | 불필요 |
100Wh ~ 160Wh | 최대 2개 | 사전 승인 필수 |
160Wh 초과 | 반입 불가 | 전면 금지 |
즉, 100Wh 이하 배터리는 5개까지 자유롭게 반입 가능하며, 100Wh ~ 160Wh 범위는 최대 2개까지 허용되나 반드시 항공사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60Wh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내 반입 시 유의사항
보조 배터리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 ✅ 배터리 단자는 절연 테이프로 감싸 외부와의 접촉을 차단할 것
- ✅ 지퍼백 또는 절연 효과가 있는 전용 케이스에 보관할 것
- ✅ 기내 선반이 아닌, 개인 소지품 또는 좌석 주머니에 보관할 것
- ✅ 기내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 행위를 금지할 것
이와 같은 보관 및 사용 수칙을 위반할 경우, 추가 보안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항공사별 규정 비교
항공사마다 보조 배터리 반입 규정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주요 항공사의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주요 항공사의 보조 배터리 반입 기준
항공사 | 100Wh 이하 (최대 5개) | 100~160Wh (최대 2개) | 160Wh 초과 | 추가 규정 |
---|---|---|---|---|
대한항공 | 가능 | 별도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지퍼백 보관 필수 |
아시아나항공 | 가능 | 별도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기내 충전 금지 |
제주항공 | 가능 | 별도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보관 시 절연 테이프 필수 |
에미레이트항공 | 가능 | 별도 승인 필요 | 반입 금지 | 기내 선반 보관 금지 |
각 항공사의 세부 규정은 상이할 수 있으므로, 탑승 전 반드시 해당 항공사의 최신 지침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기내 보조 배터리 반입, 이렇게 준비하세요!
요약하자면, 새로운 규정에 따라:
- ✅ 100Wh 이하 배터리는 최대 5개까지 소지 가능
- ✅ 100Wh ~ 160Wh 배터리는 최대 2개까지 허용되며, 사전 승인 필요
- ❌ 160Wh 초과 배터리는 기내 반입 불가
- ⚠️ 반드시 지퍼백이나 절연 테이프로 안전하게 포장할 것
- ❌ 기내에서 보조 배터리를 통한 충전은 금지됨
여행 전, 보조 배터리 용량과 항공사의 규정을 꼼꼼히 확인하고, 안전 보관 방법을 준비하여 안심하고 탑승하시기 바랍니다. 안전한 여행은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 FAQ
Q1. 100Wh를 초과하는 배터리 반입은 어떻게 처리되나요?
A1. 100Wh에서 160Wh 범위의 배터리는 최대 2개까지 반입할 수 있으나, 반드시 항공사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160Wh를 초과하는 배터리는 기내 반입이 금지됩니다.
Q2. 보조 배터리를 위탁 수하물로 보내도 괜찮은가요?
A2. 보조 배터리는 반드시 기내에 직접 소지해야 하며, 위탁 수하물로 부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Q3. 기내에서 보조 배터리를 통한 충전이 가능한가요?
A3. 안전상의 이유로 기내에서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충전이 금지되며, 좌석의 USB 포트 등 대체 충전 수단을 이용해야 합니다.
Q4. 배터리 보관 시 특별한 포장 방법이 필요한가요?
A4. 네, 배터리 단자가 외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지퍼백이나 절연 테이프로 꼼꼼하게 포장해야 합니다.
Q5. 전자담배 배터리도 동일한 규정이 적용되나요?
A5. 맞습니다. 전자담배 배터리 역시 보조 배터리와 동일한 반입 및 보관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Travel Notes > ·Travel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여행 할인 꿀팁: 사가현 캐시백부터 로손 상품권까지 완벽 정리 (0) | 2025.02.23 |
---|---|
기타큐슈 자유여행 항공권, 숙소, 교통, 쇼핑까지 가성비 100% 활용법 (0) | 2025.02.23 |
동남아 야시장 완벽 가이드: 길거리 음식부터 쇼핑까지 한눈에! (3) | 2025.02.22 |
홍콩 자유여행 완벽 가이드: 버스부터 피크트램까지 (3) | 2025.02.22 |
항공권 싸게 사는 방법: 시크릿 모드부터 캐시백까지 완벽 정리 (1) | 2025.02.22 |